흉선대맥계
흉선대맥계
천돌(화), 도도 (수)
음양단전 ,중앙 흉선
천돌-대추 직선맥
음-양단전 직선맥
원형의 대맥
흉선
다른 표기 언어 thymus , 胸腺 툴바 메뉴
요약 심장 높이의 흉골 바로 밑에 위치한 피라미드 모양의 림프 기관.
가슴샘이라고도 함.
목차
펼치기흉선의 모양이 백리향(thyme) 잎사귀를 닮았기 때문에 'thymus'라고 명명되었다. 대부분의 다른 림프계 구조와는 달리 흉선은 빨리 자라서 태생기와 생후 1년 동안에 인체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인 크기가 최대가 된다(→ 색인 : 인간의 성장). 그 이후도 계속 커지나 다른 기관보다 성장속도가 느리다. 사춘기가 시작되면 흉선은 천천히 퇴축(退縮)한다. 이러한 점진적인 크기 감소는 일생동안 계속된다. 흉선은 신체의 정중선(正中線)의 양쪽에 위치한 2개의 엽(葉)으로 되어 있고, 이는 소엽(小葉)이라는 보다 작은 구획으로 나누어진다. 소엽은 조밀한 결합조직의 피막(皮膜)으로 덮여 있으며 여기에서 결합조직섬유가 흉선 내로 뻗어 지지작용을 한다. 흉선 조직은 외부영역인 피질과 내부영역인 수질로 구분이 된다.
흉선은 주로 림프구 와 세망세포(reticular cell)로 구성되어 있다(→ 색인 : 림프구). 세망세포는 림프절처럼 느슨한 망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사이 공간을 림프구가 채우고 있다. 림프구가 집중되어 있는 피질은 림프구가 증식하는 장소이다. 림프구 증식은 피질 전체에서 고르게 일어나며 다른 림프 조직에서처럼 배심(germinal center)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피질에서 생성되는 딸세포의 일부인 T세포(thymus-derived cell)는 수질로 이동하여 수질 정맥을 통해 혈류로 들어가 말초혈액 및 림프 조직에서 볼 수 있는 림프구의 일부를 공급한다(→ 색인 : 부신피질). 흉선이 퇴축되는 동안 피질은 점차 얇아진다. 림프구가 사라지고 대신 엽들 사이에 있는 막에서 유래한 지방조직으로 대체된다. 완전한 퇴화는 일어나지 않고 남아 있는 흉선조직만으로도 기능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지금까지 관찰된 흉선의 기능은 주로 신생아와 관련된 것이다. 성인의 경우 흉선을 제거해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신생아는 흉선을 제거하면 혈액과 림프 조직 내의 T세포가 크게 감소하며 면역체계가 무너져 점차로 치명적인 소모성 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출생시 흉선을 제거한 동물은 외부 조직을 이식했을 때 거부반응을 보이는 능력과 특정 항원에 대해 항체를 형성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백색의 비장수질 일부와 림프절의 크기가 크게 줄어든다. 이러한 결과들은 흉선에서 생성되어 림프 조직으로 운반되는 T세포가 면역성의 발달에 결정적인 요소임을 보여준다.
흉선의 피질에서 생성되는 림프구의 대부분이 흉선에서 파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흉선에서 배출된 T세포들이 외부 항원에 대항하여 반응하도록 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흉선이 자가면역반응(생체 자신의 조직 성분에 대한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림프구들을 파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흉선은 배액을 위한 림프관이 없다는 점에서 다른 림프 기관들과 구조적으로 다르며, 미생물 및 다른 항원들이 노출되는 림프절 같은 여과기가 아니다. 흉선의 림프구들은 흉선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연속적인 상피세포 층에 의해 다른 신체 부위와 차단되어 있다. 이렇게 격리된 채 림프구들은 분화하여 전문적인 일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된다. 흉선의 호르몬 기능이 이러한 분화를 돕는다고 주장되어 왔다. 이렇게 전문화된 림프구들 중에서 보조 T세포(helper T cell)는 흉선 비의존성 림프구인 B세포와 협력하여 항체를 형성한다. 세포독성 T세포(cytotoxic T cell)는 신체에 침입한 미생물과 이식장기와 같은 외부조직을 직접 공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