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하소주천 /마음과 축기 ,운기
[스크랩] 심우도尋牛圖 - 불가佛家와 선가仙家(神敎)의 이해 비교
김동수
2016. 10. 5. 17:57
등록자 註)
선가를 공부하시는 분이, 심우도의 불가와 선가 비교를 메일로 보내 오셨습니다.
불가 쪽의 해설은 익히 들어 온 바, 우리 카페에도 기존의 소개글이 있으나
선가 쪽의 해설은 접하기 어렵다는 생각에서 이를 다듬어 소개합니다.
등록자가 심우도의 개략을 정리하고
그림은, 널리 알려진 송광사 소장의 (곽암본)시우도보다는, 덜 알려진 그림을 삽입하고
위변조를 방지하고자 선가의 해설을 곁들인 그림파일로 편집하여 등록합니다.
----------------------------------------------------------------
[개략] -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
- 불교의 선종禪宗에서, 본성을 찾는 것을 소를 찾는 것에 비유하여 그린 선화禪畫라 할 수 있다.
- 심우도尋牛圖, 십우도十牛圖(시우도), 목우도牧牛圖 등으로 불리고 있다
- 중국 송나라 때 곽암廓庵, 보명普明이 그렸다고 하는 두 종류가 전래되어 조선시대까지 유행하고 주로 사찰의 법당벽화로 활용되었다.
- 10개의 장면으로 구성되어 시우도 라고도 불리는 곽암본과 보명본은 용어나 화면형식에서 차이가 있는 바,
곽암본은 제목을 심우도라 하고, 모든 화면에 원상圓相을 만들고 그 안에 그림을 그린 데에 반하여,
보명본은 제목을 목우도라 하고 10번째 화면에만 원상을 만든 점 등이 다르다.
- 중국에서는 소 대신에 말로 상징한 시마도十馬圖가, 티베트에는 코끼리로 상징한 시상도十象圖가 전해지기도 한다
출처 : 무속인에게 실망한 사람들의 모임
글쓴이 : 로고스(logos)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