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호흡 수련 /경락 경혈도
콩팥위 부신--에디슨 병
김동수
2018. 10. 26. 18:51
콩팥위 부신--에디슨 병
1816년 스코틀랜드의 토머스 에디슨 박사는 부신에 생기는 에디슨병을 발견 했다.
그리고 에디슨 박사의 연구에 뒤이어 하버드와 파리에서 연구를 하던 프랑스계 미국인
브라운 세컬 박사가 동물 실험을 통해 부신을 제거하면 즉시 죽움에 이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후 부신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더욱 진행 되었고, 그 결과 제약회사의 주가가
대 폭등하여 주식거래에 충격을 주는 사회현상까지 일으키기도 했다.
부신은 腎臟 바로 위에 있는 약 5cm 정도 되는 한쌍의 작은 내분비선이다.
특히 부신의 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오늘날 '부신피질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
부신이 예상 밖의 성질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20세기가 되면서였다.
부신의 기능이 떨어지는 에디슨병은 '빈혈, 일반적인 무기력과 심장쇠약, 심장기능의
뚜렸한 허약, 위의 과민증 및 피질색의 특수한 변화'가 특징이다.
한의학에서는 생명조절센터인 부신의 황동쇠약 상태를 '腎虛'라고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허약증후군, 즉 빈혈, 머리의 혼란, 허리와 무릎의 나른함, 무력, 손바닥열감
오후의 미열, 위장활동불량, 혈색불량으로 인한 안면의 거므스럼해짐'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데 바로 에디슨병과 같은 증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