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ktx를 타고서 --대전 블루스
대전 부르스
![]() 대전부르스 / 安貞愛
1.잘 있거라 나는 간다 이별의 말도 없이
떠나가는 새벽열차 대전 발 영시 오십분 세상은 잠이 들어 고요한 이 밤 나만이 소리치며 울 줄이야 아~ 붙잡아도 뿌리치는 목포행 완행열차 2.기적소리 슬피 우는 눈물의 플렛트홈 무정하게 떠나가는 대전 발 영시 오십분 영원히 변치 말자 맹서했건만 눈물로 헤어지는 쓰라린 심정 아~ 보슬비에 젖어우는 목포행 완행열차
|
1959년 어느날 밤 12시40분경. 산책 나온 듯한 한 사내의 시선이 대전역내 이별을 아쉬워하고 있다. 북쪽에선 남자를 떠나보낼 목포행 0시 50분 증기기관차가 플랫폼으로 들어오고... 사내는 곧바로 여관으로 되돌아가 시를 쓴다. 대전부르스 가사였다. 사내는 당시 신세기레코드사 사업부 직원이었던 최치수씨로 작곡가 김부해씨는 부르스로 리듬을 정한 뒤 '안정애'로 정해 녹음에 착수했다. 도매상으로부터 주문이 쇄도했다. 창사이래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고 특별보너스와 월급인상 혜택이 돌아갔다.
십 수 년이 흐른 뒤 이 노래는 조용필의 리바이벌로 세상에 다시 고개를 들었다.
모임이 있을 때 술이 몇 순배 돌아가면 누군가 좌중을 헤치고 비척비척 일어나 소주병이나 막걸리병을 입에 대고 목청껏 부르는 노래가 '대전부르스'다. 귀향과 가출, 생성과 소멸의 상반된 이미지를 내포한 역(驛)을 내세워 60년대 어려웠던 소시민의 애환을 달랬다. 지친 몸을 이끌고 들어오는 역의 실루엣은 작가들의 단골 소재다.
대전부르스 (작사: 최치수. 작곡: 김부해. 노래: 안정애)
1959년 2월 제33열차로 탄생한 이 기차는 밤 8시 45분에 서울을 출발, 다시 목포를 향해 0시50분에 출발했다. 당시에는 대전역을 거쳐갔다. 대전역 인근 시장에서 광주리 물건을 팔던 막차를 기다리던 지방사람들이었다. 새벽열차가 북적대기도 했다. 1년만인 1960년 2월 대전발 03시05분 발차로 이미 운명을 달리했다. |
..

1948년의 대전역 모습

1950년 9월 전쟁으로 폐허가된 대전역
★ 감 독 : 이종기
★ 출 연 : 최무룡/엄앵란/신성일
★ 제작사및 년대 : 1963 동아영화사
★ 음 악 : 김부해
★ 주제가 : 안정애(대전 부르스)
★ 줄거리
육군 소위인 그에게는 장래를 언약한 한 여인이 있어 정식으로 약혼할 것을 성화같이 독촉당하나
그는 몽매에도 잊지 못해하는 누님을 찾아 그녀의 축복 속에서 약혼식을 갖는 것이 소원이어서
하루하루를 미뤄 온다.
그런데 어느날 누님을 만났으나, 아! 누님이 빠아의 여급으로 전락했을 줄이야.
때마침 그에게 전방 수색대장의 임무가 떨어져 살아있기를 원치 않는 그는 죽음으로써 임무를
수행한다 ...
★ 자료: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 개봉관:국제극장
--1963년 발매 음반--
조용필<대전부르스>
대전역 전경
사통팔달 교통의 요충지였던 대전은 경부선이 개통되고 대전역이 들어서면서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형태의 너른 벌판이었던 곳이 마을이 생겨나고 원도심이 형성되면서 역사속에 휘말리기도 하였다.
그렇게 근대역사가 이루어지면서 최근에는 정부 제2청사가 들어서는가 하면 삼군 본부가 내려오고
대덕 테그노벨리가 형성되는 등 대전역과 더불어 급변하는 도시로 변하였다. 대전역사 외관만 하더
라도 준공되었을 당시 이후에 서너번은 바뀌었다. KTX가 생기면서 새 역사가 준공되고 대전역 뒷편
으로는 동광장역이 새로 생기면서 역 아래로는 동광장역과 관통하는 지하차도가 개설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때의 옛 대전역 [사진출처: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