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所思(유소사) - 그리운 님
有所思(유소사) : 그리운 님
乃在大海南(내재대해남) : 큰 바다 남쪽에 계시네
何用問遺君(하용문유군) : 무엇을 보내 그대 안부 물을까,
雙珠玳瑁簪(쌍주대모잠) : 쌍주대모잠
用玉紹繚之(용옥소료지) : 옥으로 칭칭 감았구나
聞君有他心(문군유타심) : 그대 다른 마음 있다는 말 듣고
拉雜摧燒之(랍잡최소지) : 마구 부수어 태워버렸네
摧燒之(최소지) : 부수어 태워서
當風揚其灰(당풍양기회) : 그 재를 바람에 날려버리라
從今以往(종금이왕) : 이제부터는
勿復相思(물부상사) : 다시는 생각하지 않으리
相思與君絕(상사여군절) : 그리움 끊어버리리
雞鳴狗吠(계명구폐) : 닭 울고 개도 짖던일
兄嫂當知之(형수당지지) : 형수는 안다네
秋風肅肅晨風颸(추풍숙숙신풍시) : 가을바람 싸늘한데 꿩이 짝을 찾는구나
東方須臾高知之(동방수유고지지) : 동방이 곧 밝으면 알 수 있으리라.
요가십팔곡 중 한 곡.
변심한 연인에 대해 절교를 선언하는 시이다
쌍주대모잠(비녀)을 부러뜨릴만큼 화가난 여인의 단호한 모습이
무섭기도하고, 공감되기도 했다.
[출처] 有所思(유소사) - 그리운 님|작성자 박윤인
'외국시 > 번역 한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夢) (0) | 2015.03.27 |
---|---|
將進酒(장진주) 술을 드리며; (0) | 2015.03.27 |
생각나는 일-宋之問(송지문) (0) | 2015.03.27 |
잡시 --도 연명 (0) | 2015.03.27 |
靑靑 水中浦 청청수중포 韓退之 (0) | 201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