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맹자의 대장부론 맹자의 대장부론 거천하지광거(居天下之廣居) 입천하지정위(立天下之正位) 행천하지대도(行天下之大道) 득지여민유지(得志與 民由之) 불득지독행기도(不得志獨行其道) 부귀불능음(富貴不能淫) 빈천불능이(貧賤不能移) 위무불능굴(威武不能屈) 차지위대장부(此之謂大丈夫) 천하의 넓은.. 동양고전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2015.03.19
-고자(告子)편---맹자 하늘이 장차 어떤 사람에게 큰일을 맡기려고 할 때는 天將降大任於是人也 반드시 먼저 마음을 괴롭게 하고 육체를 지치게 하며 必先苦其心志 勞其筋骨 그 배를 굶주리게 하고 생활을 빈궁에 빠뜨려 餓其體膚 空乏其身 하는 일마다 어지럽고 힘들게 만든다 行拂亂其所爲 이는 분발하고 .. 동양고전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2015.03.17
《맹자》<梁惠王.上>편 맹자가 양혜왕을 만났다. 孟子見梁惠王[15][16] 맹자께서 양혜왕을 뵈시니, 王曰, 叟不遠千里而來, 亦將有以利吾國乎?[17] 왕이 말하였다. "노인께서 천리를 멀리 여기지 않고 오셨으니, 또한 장차 내 나라를 이롭게 함이 있겠습니까? 孟子對曰, 王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맹자께서 대답하.. 동양고전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2015.03.17
君子三樂 君子三樂 군자에게 세가지 즐거움[21]이 있으니 왕 노릇 따위에 비할소냐 君子有三樂 而王天下不與在焉 부모님께서 살아계시고 형제가 탈이 없는 것이 첫째 즐거움이요,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하늘을 우러러 부끄러움이 없고 땅을 굽어봐도 거리낌이 없음이 두째 즐거움이요, 仰不愧.. 동양고전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201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