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호흡 수련 /기초호흡 15

힐링 복식호흡 1

힐링 복식호흡 1 숨을 마시며 배를 내는 것보다 배를 먼저 내밀어 저절로 공기가 폐로 들어가게 하는게 더 자연스런 호흡이 됩니다 그러니까 숨을 마시며 배에 힘을 주어 내밀지말고 늘 배를 의식하고 내밀면 빈 공간으로 공기가 들어오고 배를 넣으면 그 압력에 밀려 탁한 공기가 폐에서 나오게 되죠 주의--초보자는 배꼽에 손을 얹고 하세요 너무 윗배에 신경을 쓰면 명치에 기가 모여 불편해집니다 ~~ ******주의--절대 척추에 힘을 주면 안됩니다 자꾸 그러면 척추를 다칩니다

힐링 복식호흡 1 --명상,기감 수련

힐링 복식호흡 1 --명상,기감 수련 코나 호흡길은 전혀 신경 쓰지 않고 그냥 배만 살짝 내밀고 원상태로 하는 복식호흡은 명상과 기감수련도 같이 된다 1 배를 정상 상태에서 좀 내밀고 안으로 더 집어넣지 않고 정상상태로 환원한다 그러면 배의 움직임이 작아서 마음을 고요하게 유지하기 쉬어진다 아주 정확하게 하면 좀 힘이 들어 2~3분하고 1분정도 쉬었다 반복한다 매일 그냥 눈을 감고 편하게 길게 쭉 하면 명상의 효과가 생긴다 그러면 뱃속을 내관하는 각성력이 키워진다 2 그 정도가 더 깊어지면 배를 내밀 때 배의 중심에서 물결치듯이 기가 잔잔히 배의 속표면에 가서 닿는 걸 느낄 수 있다 자주 반복하면 뱃속 기감능력이 확실히 증진된다 그럼 기호흡이 본격적으로 되어 모든 수련 과정이 매우 쉬워진다 늘 강조하는데..

정력에 탁월한 효과-- 힐링 복식호흡 2 보충설명

정력에 탁월한 효과-- 힐링 복식호흡 2 보충설명 힐링 복식호흡 2 회음을 넓게 내리 누르는 것이 잘 안되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네요 그 부근 근육을 거의 쓰질 않으니 퇴화되고 신경이 작동이 잘 안됩니다 하지만 아침마다 화장실에서 항문을 누르는 것은 누구나 하고 있읍니다 항문을 살짝 누르세요 힘주면 곤란해질 수 있으니 살짝 누르세요 몸전제에 힘빼고 누를 때 숨이 들어옵니다 매일 그걸 반복하세요 그게 잘되면 회음까지 좀 넓게 누르세요 회음보다 더 넓게 누르면 그게 힐링 복식호흡 2 입니다 배가 거의 나오지 않고 회음 부근이 볼록볼록 나오면 제대로 하는겁니다 기가 성기뿌리에 들어가 정력도 강화되며 남성기 뿌리 근육의 운동도 되며 마사지 효과도 생긴다 괄약근 주위 운동도 되어 변비해소에도 좋습니다 변실금,요실금..

정력에 탁월한 효과-- 힐링 복식호흡 2

정력에 탁월한 효과-- 힐링 복식호흡 2 우리 몸엔 가슴아래 횡격막이 잇고 천골에도 횡격막이 있다 내장과 남성기를 분리하는 횡격막이 있는 것이다 자세를 바로하고 뱃속에 들어온 기를 회음쪽으로 누른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공기가 코를 통해 폐로 들어오고 기운이 배에 가득차며 횡격막이 내려와 회음을 지그시 누르게 된다 배가 거의 나오지 않고 회음 부근이 볼록볼록 나오면 제대로 하는겁니다 기가 성기뿌리에 들어가 정력도 강화되며 남성기 뿌리 근육의 운동도 되며 마사지 효과도 생긴다 괄약근 주위 운동도 되어 변비해소에도 좋습니다 이것의 오의를 깨달으면 엄청난 효과를 봅니다 ******주의--절대 척추에 힘을 주면 안됩니다 자꾸 그러면 척추를 다칩니다

힐링 복식호흡 1 --명상,기감 수련

힐링 복식호흡 1 --명상,기감 수련 코나 호흡길은 전혀 신경 쓰지 않고 그냥 배만 살짝 내밀고 원상태로 하는 복식호흡은 명상과 기감수련도 같이 된다 1 배를 정상 상태에서 좀 내밀고 안으로 더 집어넣지 않고 정상상태로 환원한다 그러면 배의 움직임이 작아서 마음을 고요하게 유지하기 쉬어진다 아주 정확하게 하면 좀 힘이 들어 2~3분하고 1분정도 쉬었다 반복한다 매일 그냥 눈을 감고 편하게 길게 쭉 하면 명상의 효과가 생긴다 그러면 뱃속을 내관하는 각성력이 키워진다 ******주의--절대 척추에 힘을 주면 안됩니다 자꾸 그러면 척추를 다칩니다 2 그 정도가 더 깊어지면 배를 내밀때 배의 중심에서 물결치듯이 기가 잔잔히 배의 속표면에 가서 닿는 걸 느낄 수 있다 자주 반복하면 뱃속 기감능력이 확실히 증진된다..

[스크랩] 호흡과 기호흡 비교 1--호흡--

호흡과 기호흡 비교 1--호흡-- --호흡-- 1 중국에선 흡기,지기 ,토기의 3 단계 숨쉬기가 있는데 숨을 들이 마시고 숨을 3초이상 멈추고 그 다음에 숨을 뱉는데 기공유파에 따라 흡기와 토기의 길이의 비율이 좀 달라집니다 문제는 지기인데 숨을 멈추고 있는 시간을 호흡수라고 해서 길수록 좋은 것으로 합니다 근데 이때 문제가 잘 발생하는데 기해혈에 채 수기와 화기가 결합하여 진기가 만들어지지 않은채 지기로 인해 복압이 높아져 화기가 독맥을 따라 뇌로 올라가 상기증이 생겨 망상,환상에 시달립니다 2 한국 선도에선 에선 흡기,토기만 있고 호흡수를 늘려가는데 그러면 압력이 높아집니다 3 중국 한국 공통으로 공기에 있는 기가 가슴에서 걸리며 기체라는 현상이 잘 생기는데 음식이 소화가 잘 되지않고 위에서 걸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