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橘北枳(남귤북지) 南橘北枳(남귤북지) 남녘 남, 귤 귤, 북녘 북, 탱자 지 회수의 남쪽인 회남의 귤나무를 회수의 북쪽인 회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나무로 변해버린다. 처지가 달라짐에 따라 사람의 기질도 변한다는 뜻 춘추시대 齊(제)나라에 안영이란 유명한 재상이 있었다. 어느 해 안영이 사신으로 楚(초).. 동양고전 /고전과 수필 2015.11.08
[스크랩] [출처 - 비애리님] 불교안의 인도 신 천룡팔부 천룡팔부(八部衆=팔부중)는 불교에서 나오는 여덟종류의 신통력이 있는 괴물(怪物)을 일컫는 말입니다. 천(天)과 용(龍)을 우두머리로 하기 때문에 천룡팔부라고 하지만 다른말로는 팔부중 이라고 합니다.. 팔부(八部)란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파(乾達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 동양고전 /바가바드 기타 2015.10.27
[스크랩] [출처 - 비애리님] 비쉬누의 10가지 화신 비쉬누신은 브라흐마,쉬바와 함께 인도의 창조신중 하나로 우주의 유지자, 보존자 입니다. 항상 자애로우며, 진리를 수호하고 그것을 적극적으로 실현시키는 역할이죠.. 파괴신 쉬바는 성격이 복잡한 반면 비쉬누는 언제나 쾌할하고 자애로운 성격이며 하늘에 살며서 지상을 내려보다가 .. 동양고전 /바가바드 기타 2015.10.27
중년남자가 본 맹자의 대장부론 중년남자가 본 맹자의 대장부론 요즘 달과 음양의 조화를 이루면서 마음이 무척 안정이 되었다 마치 절세미인 애인이 한 명 생긴 듯하다 그래서 밤에 티비도 안보고 술을 마시며 책을 본다 요즘엔 막걸리 한병 사면 이삼일 두고 마신다 독서에 심취해서 술을 마시는 재미를 별로 못 느낀.. 동양고전 /고전과 수필 2015.10.07
≪論語(논어)≫첫 장 學而篇(학이편)---나의 해석 ≪論語(논어)≫첫 장 學而篇(학이편)---나의 해석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기쁘지 아니한가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 (유붕자원방래 불역낙호)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오니 즐겁지 아니한가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인부지이불온 불역군자.. 동양고전 /고전과 수필 2015.05.12
나의 學而時習之~~ 나의 學而時習之~~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니 어찌 즐겁지 아니한가 논어의 학이편에 나오는 유명한 글이다 국어책에서도 양주동 선생님의 공부에 대한 수필에 나와서 무척 인상깊게 재미있게 읽었다 독서백편의자현-한책을 백번 읽으면 저절로 .. 동양고전 /고전과 수필 2015.04.08
마하무드라의 노래!--펌 마하무드라의 노래! # 1 스스로 피어난 지혜에게 절 하나이다. 마하무드라는 보여 질 수 없다. 그러나 스승에게 헌신하고 숱한 고행과 고통을 넘어온 나로빠 내 그대를 위해 이 가르침을 전하노니 축복받은 제자여, 가슴 깊이 간직하여라. 들어보게나. 세상의 본질은 신기루나 꿈과 같이 .. 동양고전 /탄트라 비전 2015.03.21
사라하의 노래 40頌 사라하의 노래 40頌 사라하=나가르주나(龍樹)의 스승이며 탄트라 불교의 4대 조사 문수사리께 경배하나이다. 이 세상을 정복한 그에게 절하나이다. 〔頌 1〕 고요한 연못 위에 바람이 불면 수면은 잔잔한 파도로 부서지듯이 왕이여, 그대는 날 여러 측면으로 생각하지만 나 사라하(Saraha)는.. 동양고전 /탄트라 비전 2015.03.21
[스크랩] 맹자의 대장부론 맹자의 대장부론 거천하지광거(居天下之廣居) 입천하지정위(立天下之正位) 행천하지대도(行天下之大道) 득지여민유지(得志與 民由之) 불득지독행기도(不得志獨行其道) 부귀불능음(富貴不能淫) 빈천불능이(貧賤不能移) 위무불능굴(威武不能屈) 차지위대장부(此之謂大丈夫) 천하의 넓은.. 동양고전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2015.03.19
-고자(告子)편---맹자 하늘이 장차 어떤 사람에게 큰일을 맡기려고 할 때는 天將降大任於是人也 반드시 먼저 마음을 괴롭게 하고 육체를 지치게 하며 必先苦其心志 勞其筋骨 그 배를 굶주리게 하고 생활을 빈궁에 빠뜨려 餓其體膚 空乏其身 하는 일마다 어지럽고 힘들게 만든다 行拂亂其所爲 이는 분발하고 .. 동양고전 /사서--논어 맹자 대학 중용 2015.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