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상--참나 견성과 곤충뇌
화두 참선이나 몰라 방법으로 참나를 견성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뇌는 포유류,파충류,곤충뇌의 3 부분으로 되어
진화의 흔적이 있다
나 몰라나 화두 참선을 하면
정밀한 수련이 안 된 사람은 의식이 참나보다는 곤충뇌로 쉽게 빠지게 된다
그래서 별 생각이 없어지니 마음이 텅 빈 것으로 느낀다
그리고 곤충들에게 주로 나오는 세르토닌 호르몬이 나와서 환희심에 잠긴다
그러면 종합적인 사고가 안되고 단편적인 사고의 뇌로 퇴화하게 된다
고승들이 견성후에 기행을 일삼는 것은 깨달아서 그런게 아니고
머리의 한곳에만 에너지가 과다유입되어 뇌가 파괴되거나
곤충뇌로 퇴화했기 때문이다
또는 마음을 텅 비우다보니 의식의 보호막이 사라져
다른 영체가 빙의된 것이다
싯달타 부처님은 그런 이상 행동이 전혀 없었지 않은가 ?
그래서 기공수련을 통해
정확하게 에테르체,아스트랄체,멘탈체를 통해서 참나로 접근해야된다
하단전의 연정화기 ,중단전의 연기화신,상단전의 연신환허가 제대로 된 참나로 가는 길이다
거기에 전자기 보호막까지 만들면 더 이상적이다
'구도 수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림 내공의 조건 (0) | 2016.02.18 |
---|---|
명상--참나는 텅 비었다 ?? (0) | 2016.02.13 |
무위와 유위 (0) | 2016.01.09 |
구도 수필방을 개설하며 (0) | 2016.01.09 |
왜 현교와 비교가 따로 존재할까?? (0) | 2015.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