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만들어 낸 화학물질은 10만 가지가 넘는다. 상당수 화학물질은 내분비 호르몬 계통에 크고 작은 이상을 초래하고 있지만 전체 화학물질의 99%는 단속규정 자체가 없으며, 85%는 위해성에 대한 정보도 없는 상태다.
환경오염에 따른 피해는 어류·양서류·파충류·조류는 물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까지 급속 확산돼 암컷화가 빠른 속도로 이뤄지고 있다. 암컷화란 오염물질에 취약한 수컷이 내분비 호르몬 계통에 이상을 일으키면서 암컷으로 진화하는 것을 말한다.
만일 이 같은 암컷화가 가속화된다면 먼 미래에는 암컷만 존재하고, 수컷은 번식을 목적으로 한 최소한의 숫자만 사육될지도 모른다. 조금 더 극단적으로 보면 자웅동체의 암컷이 번식을 담당하거나 암컷만으로도 번식이 이뤄지는 처녀생식으로까지 치달을 개연성도 있다.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은 자신의 저서 ‘소크라테스의 변명’에서 인간을 다음과 같이 묘사 했다. 남성과 여성은 원래 하나로 합쳐져 있었으며, 각 각 4개의 팔다리를 통해 신(神)과 대결할 만큼 힘을 가 졌었다는 것.
하지만 신에 대한 도전으로 제우스의 노여움을 사 현재와 같이 2개의 팔과 2개의 다리를 가진 남성과 여성으로 분리됐다고 한다. 그렇다면 진화론에서는 인간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진화론에서는 단세포동물과 같은 하등동물에서 고등동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수컷과 암컷이 분리됐다고 한다. 그리스 신화에 따른다면 수컷과 암컷이 한 몸을 이루는 자웅동체 또는 하나의 성(性)만 남는 것은 인간 힘의 회복을 의미한다.
반면 진화론에 따른다면 자웅동체 또는 하나의 성만 남는 것은 진화의 역행이며 퇴화인 셈이다. 현재 지구 생태계는 인간이 만들어낸 10만 가지의 각종 화학물질과 이로 인해 발생한 환경오염으로 어류·양서류·파충류·조류 등 대부분의 생물종에 걸쳐 암컷으로의 진화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이 같은 현상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도 빈번하게 발견되고 있다. 과연 진화의 수레바퀴가 선택한 미래의 생존자는 암컷일까.
암컷으로의 급격한 진화
올해는 진화론이라는 가설을 최초로 세운 찰스 다윈이 탄생한지 200주년이 되는 해며, 진화론을 알린 그의 저서 ‘종의 기원’이 발행된 지 150주년 되는 해다. 진화론은 자연적으로 발생된 생명체가 진화를 거듭해 현재의 인류가 됐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 같은 가설을 담아 지난 1859년 발행된 종의 기원은 신이 생명체를 창조했다는 기존의 창조론을 뒤집으며 현대과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진화론은 지금도 종교계를 비롯해 창조론을 지지하는 과학자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진화론은 신학으로부터 과학을 분리해 내고, 현대과학을 일궈낸 기반이 됐다. 그런데 최근 들어 지구 생태계는 첫 생명체가 탄생한 이래 가장 빠른 속도의 진화가 이뤄지고 있다.
지구 생명체는 단세포동물에서 다세포동물 등 각 단계 별로 폭발적인 진화를 거듭했다는 것이 진화론을 토대로 한 과학계의 정설이다. 하지만 최근 나타나고 있는 것만큼 빠른 속도의 진화가 이뤄진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최근 생물종의 진화는 무척추동물에서 척추동물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어류·양서류·파충류· 조류는 물론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서까지 폭넓게, 그리고 급속하게 일어나고 있다. 바로 암컷화 (ferminization)다.
암컷화란 환경오염에 취약한 수컷 이 내분비 호르몬 계통에 이상을 일으키면서 암컷으로 진화하는 것을 말한다. 진화론자의 입장에서 보면 최근 이뤄지고 있는 급격한 암컷 화는 진화론을 입증하는 실질적 사례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암컷화가 자연의 틀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만들어 낸 각종 화학물질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만일 암컷화가 가속화된다면 먼 미래에는 암컷만 이 존재하고, 수컷은 번식을 목적으로 한 최소한의 숫자만 사육될지도 모른다.
보다 극단적으로 보면 자웅동체의 암컷이 번식을 담당하거나 암컷만으로도 번식이 이뤄지는 처녀생식으로까지 진화가 이어질 개연성이 있다. 더 이상 수컷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얘기다. 어찌 보면 암컷 화는 수컷의 멸종을 유발하는 전주곡일지도 모른다.
암컷화 유발하는 환경오염
생물종, 특히 인간의 암컷 화를 유발하는 가장 큰 요인은 바로 환경오염이다. 현재 인간은 10만 가지의 각종 화학물질을 만들어내 사용하고 있지만 이중 85%에 대한 위해성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는 상태다.
더욱이 10만 가지의 화학물질 중 99%는 아무런 단속규정 없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바다 또는 토양으로 흘러들어가 동물의 체내에 쌓이고 있다. 암컷화는 이들 화학물질 가운데 폴리염화비페닐, 프탈레이트 같은 환경호르몬 동물의 체내에서 암컷 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발생한다.
폴리염화비페닐은 염소와 비페닐을 반응시켜 만드는 유기화합물로 물에는 녹지 않지만 기름이나 유기용매에는 녹는다. 절연성이나 열의 보존성이 높아 변압기, 자동차 자동변속기의 전기절연체, 테이프, 도료, 인쇄잉크 등에 쓰인다. 지난 1930년대 와 1940년대를 거치며 공업용으로 널리 사용됐지만 1970년대 중반 이후 생명체에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생산과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프탈레이트는 산업용 화학물질로 1930년대 이후 많은 플라스틱류의 가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유아용 조유(milk formula)·치즈·마가린·스낵용 과자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이들 환경호르몬은 암컷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반면 수컷 호르몬인 안드로겐은 억제시킨다.
이 때문에 환경호르몬에 노출된 동물은 체내에서 암컷 호르몬 과잉상태가 되고, 결과 적으로 암컷화가 이뤄지게 된다. 이는 성(性) 정체성 문제로 인위적인 성전환 수술을 하는 트랜스젠더의 경우와 유사하다.
남성이 여성으로 성을 전환할 때 생식기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여성 호르몬을 투여해 여성화를 유지하는 것과 같다는 것. 생물종의 암컷화는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 합성 에스트로겐이 주요 성분인 피임약이 물에 버려진 뒤 여기에 노출된 바퀴벌레 수컷이 완전한 암컷으로 성전환된 사례가 보고돼 있다.
또한 식품 포장지를 비롯해 청소용품, 플라스틱,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화학 물질이 생식기 기형이나 정자 수 감소를 유발한다는 보고도 있다. 물론 이는 암컷이 태생적으로 환경호르몬과 같은 오염물질에 강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며, 진화론적인 시각에서도 정상적인 흐름이라는 주장이 있다.
실제 다윈은 종의 기원에서 “생태계에서 살아남는 종은 생존력이 강하거나 똑똑한 종이 아니라 단지 변화에 잘 적응하는 종”이라고 말한 바 있다. 즉 진화론으로 보면 인간이 만들어놓은 환경호르몬에 대해 암 컷이 보다 잘 적응하는 종이고, 이 때문에 수컷이 암컷으로 진화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인간의 암컷화를 촉발한 원인으로 환경오염을 꼽는다. 우리가 버린 이들 화학물질들이 토양으로 스며든 뒤 식품을 통해 체내에 재흡수돼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비정상적으로 활성화 시킨다는 것이다.
-파퓰러 사이언스에서
'환마신공 (幻魔神功 ) > 미래예측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차원상승 (0) | 2014.01.03 |
---|---|
로열 더치 쉘 석유회사는 .... (0) | 2013.12.19 |
미래 산업 (0) | 2013.12.12 |
기와 성의 미래예측 (0) | 2013.12.12 |
사회 미래예측 (0) | 2013.06.29 |